간호계뉴스

  • 의대 앞서 간호대 정원 2배 늘렸더니 '실습지 부족'
  • 출처: 데일리메디
  • 2024.05.13
의대 앞서 간호대 정원 2배 늘렸더니 '실습지 부족'
경북대 권소희 교수팀 연구, "병상 따른 지역편차 크고 원거리 실습 난무"

 

 

 



의대 정원 확대에 앞서 정원의 2배를 늘린 간호대가 "임상실습 질(質)이 저하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주목된다. 

 

결론적으로는 급격하게 증가한 학생 수에 비해 인프라가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역별 병상 수 격차로 인한 실습 질(質) 격차를 메우기 역부족이었으며, 급기야 원거리 실습까지 초래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이에 의료계가 정원 확대로 우려하는 실습 등 교육의 질 저하가 어떤 원인으로 인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났는지, 학생과 교육자의 어떠한 불만을 초래했는지 같은 보건의료 학과 정원 확대 사례를 통해 가늠해볼 수 있는 지점이다. 

 

간호학과 정원 15년 새 1만1686명→2만3183명

 

국민의힘 최연숙 의원은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권소희 교수팀에 의뢰한 '간호 학생 증원에 따른 임상 실습 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용역 자료를 공개했다. 

 

간호학과 입학 정원은 지난 15년 간 매년 대규모로 증원했다. 그 결과 2023년 간호학과 정원은 2008년(1만1686명)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어  2만3183명이 됐다. 

 

그러나 간호학생이 임상실습을 할 수 있는 병원 수와 규모가 학생 수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임상실습지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자료에 따르면 제주와 서울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부속병원이 없는 학교 정원이 50%을 넘었다. 

 

2023년 기준 간호학과 학생 수가 3485명으로 가장 많은 경상북도는 93%가 부속병원이 없는 실정이었다. 

 

이밖에 ▲경상남도(1725명) 93.4% ▲광주광역시(1938명) 91% ▲전라남도(1694명) 89.8% ▲충청남도(1486명) 82.8%  ▲충청북도(1364명) 82% 등이 부속병원이 없는 정원 수로 나타났다. 

 

학생 1명, 지역 내 실습 병상 수 격차 커…인천시 12개-강원도 1.4개 

 

300병상 이상 병원을 기준으로 임상실습 시 학생 1인 당 지역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병상의 지역별 편차도 극심했다. 

  

인천광역시가 12.1개로 가장 높았던 반면 강원도는 1.4개에 불과했다.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8개 시의 활용 가능 병상은 평균 5개였지만, 강원도를 비롯한 8개 시의 활용 가능 병상은 평균 2.8개에 그쳤다.  

 

이처럼 부속병원과 실습 병상의 부재는 학생들의 '원거리 실습'을 초래했다. 부속병원이 없는 간호대 학생 3,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원거리 실습을 하고 있냐'는 질문에 64.6%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반면 부속병원이 있는 경우 원거리 실습에 대해 37.5%만이 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연쇄적으로 임상실습비 지출 격차로 이어졌다. 부속병원이 있는 경우 2620만원~3592만원 선으로 형성됐지만, 부속병원이 없으면 6906만원~6935만원 선으로 두 배 이상 높았다. 

 

학생들 "실습지 부족"···병원 교육 간호사들 "학생 너무 많다"

 

간호학과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임상실습 교육 문제점을 '워드 클라우드(Word Cloud)'로 나타낸 결과 ▲실습지 부족 ▲여성실습지 부족 ▲아동실습지 부족 ▲관찰위주 실습 ▲원거리 실습관리 ▲역량있는 임상실습 교수자 확보 등이 주 키워드로 꼽혔다. 

 

여성·아동 실습지가 부족하단 의견의 경우, 실제 전국 109개 의료기관(300병상 이상)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응답 병원의 신생아실 79개(72.5%), 소아 및 신생아 중환자실 61개(56.0%), 정신과 58개(53.2%), 분만실 35개(32.0%)가 임상실습을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실습병원 교육 간호사가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 역시 시설 대비 많은 학생 수에서 오는 어려움이 주를 이뤘다. 

 

▲교육할 여력이 없음 ▲너무 많은 학생 수 ▲이론 교육과의 괴리 ▲교육인프라 부족 ▲교육역량을 갖춘 인력 부족 ▲실습지 부족 ▲과밀한 실습학생 등의 키워드로 추려졌다. 

 

최연숙 의원은 "고령화 및 만성질환 환자의 증가 등으로 늘어난 간호수요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역량을 갖춘 간호인력을 양성하고 공급하는 게 중요하다"며 "학생들이 실무역량과 현장 적응 능력을 갖춘 의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간호학과 정원에 대해 "보건의료 인력의 큰 축인 간호학과 정원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신중해야 한다"면서 "간호대학의 교육자와 현장 간호사 등이 포함된 위원회를 구성해 충분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슬비 기자 ([email protected]